등산

블렉야크 100대 명산 60좌 계룡산(충남 공주)

케이씨에스 2018. 3. 28. 22:34

산행일시 : 2018. 3. 28(수) 

산행구간 : 동학사주차장-동학사-은선폭포-관음봉-삼불봉-삼불봉고개-남매탑-동학사-동학사주차장

이동거리(GPS) : 9.89km

이동시간 : 4시간41분

평균속도 : 2.1km

최고고도 : 796m

○ 날      씨 : 맑음

 

관음봉은 계룡산의 중앙에 위치한 봉으로 정상에 전망대가 세워져 있다. 계룡산을 대표하여 공주 10경중 하나이다. 

 수원시외버스터미널에서 08:00 버스를 타고 공주종합시외버스터미널에 도착, 시내버스로 구터미널로 이동하여 300번 시내버스를 타고 동학사 입구(박정자)에서 다시 350번을 갈아 타고 동학사주차장까지 갔다. 

 공주 구터미널 뒤에 시장를 보니 옛 시절이 생각나게 한다.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온천리 에 있는 동학사·유성·공암으로 향하는 삼거리 길목을 일컫는 지명으로 박정자라는 명칭은 18세기에 마을에 살던 밀양박씨들이 심은 많은 느티나무 가운데 행인이 쉴 만한 정자나무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박정자삼거리에서 동학사주차장까지는 약 2.5km이며, 버스는 21번, 107번, 350번이 있다.

동학사주차장부터 관음봉까지는 약 4km, 동학사까지는 1.7km 완만한 평지로 이루어졌다.

동학사주차장부터 등산로가 시작되는데 좌측에는 상가가 밀집되어 있고, 그 좌측에는 동학사계곡에 물이 흐르고 있다.

동학사 매표소 옆에 설치된 계룡산 탐방 안내도, 입장료는 3,000원 현찰로만 받는다.

계룡산 동학사 일주문

동학사에 설치된 계룡산 이정표, 오늘은 은선폭포-관음봉-삼불봉-남매탑으로 해서 다시 이곳으로 올 계획이다.

동학사 대웅전에 4월초팔일을 대비하여 연등을 달아 놓은 듯 하다.

은선폭포이다. 계룡산에 있는 여러 폭포 가운데 가장 큰 폭포로, 주변의 암벽과 울창한 숲이 절경을 이룬다. 높이는 약 20미터쯤 된다.

은선폭포의 윗 부분이며, 벤츠가 여러개 만들어져 있어 이곳에서 점심을 먹었다.

관음봉 고개이다. 좌측은 연천봉이고 우측으로 가면 동학사, 위로 100미터에 관음봉이다.

관음봉에서 바라본 연천봉

계룡산은 주봉인 천황봉 (845.1M)을 비롯하여 삼불봉(775m), 연천봉(738.7m), 관음봉(766m) 등으로 이루어졌다.

관음봉(766m)은 삼불봉(775m)보다 조금 낮지만, 계룡산의 블렉야크 인증하는 장소이다.

관음봉 정상 높이는 1970년대 816m로 잘못 표기되어, 2015년 국립지리정보원에서 측량한 766m로 수정하였다.

관음봉은 계룡산의 중앙에 위치한 봉으로 정상에 전망대가 세워져 있다.

관음봉에서 바라본 동학사

관음봉에 설치된 계룡산국립공원 조망도

관음봉에서 바라본 동학사와 멀리 대전 유성 시내가 보인다.

관음봉에서 바라본 삼불봉

관음봉과 삼불봉 중간에서 바라본 관음봉의 모습

관음봉에서 삼불봉 사이는 위험한 곳이 많아 초보자는 통행을 자제하라는 문구가 있었다.

삼불봉에서 바라본 천황봉, 관음봉, 연천봉. 좌측의 천황봉은 계룡산의 최고봉으로 한국통신 중계탑이 세워져 있고, 군사시설보호구역으로 입산이 금지되어 있는 곳이다.

천황봉이나 동학사에서 멀리 올려다보면 마치 세 부처님의 모습을 닮아 삼불봉(775m)이라 한다.

삼불봉의 사계 조망은 언제나 아름다우나, 특히 흰 눈으로 장식한 계룡산의 풍광이 백미로서 이를 계룡산의 제2경으로 손꼽는다.

 

삼불봉고개. 왼쪽은 금잔디고개 갑사 방향이고, 오른쪽은 남매탑.동학사 방향이다.

남매탑은 멸망한 백제의 왕족과 호랑이가 업고 온 여인과의 애틋한 사랑 이야기가 담겨져 있다.

남매탑에서 동학사로 흐르는 계곡

 

계룡산 산행을 마치고 동학사주차장에서 107번 시내버스를 타고 대전역에서 수원행 새마을 열차로 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