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행일시 : 2018. 6. 24(일)
○ 산행구간 : 주차장-보경사-문수암-문수봉-삼지봉-관음폭포-연산폭포-보경사-주차장
○ 이동거리(GPS) : 13.05km
○ 이동시간 : 4시간41분
○ 평균속도 : 2.8km
○ 최고고도 : 740m
○ 날 씨 : 맑음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과 포항시 북구 송라면·죽장면에 걸쳐 있는 산이다. 해발 710미터의 전형적인 육산이다. 경북 8경 중 하나로 꼽히는 내연산은 약 14km에 이르는 계곡을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진 12개의 폭포가 발달하는 곳으로 하나의 계곡에 이처럼 여러 개의 폭포가 발달하는 경우는 드물다. 보경사 입구에서 내연산, 12폭포 청하골계곡을 비롯한 문화재 구역 입장료 3,500원을 징수하고 있다.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과 포항시 북구 송라면·죽장면에 걸쳐 있는 산이며, 해발 710미터의 전형적인 육산이다
보경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 본사인 불국사의 말사이며, 신라의 지명법사가 602년 진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와 창건했다.
보경사 입구 매표소에서 문화재 구역 입장료 성인기준 3,500원을 받고 있다.
보경사로부터 1.2km 지점까지는 평지에 가까운나, 이곳부터는 운수암까지는 급경사로 이루어졌다.
문수암 인근에서 바라본 내연산의 청하골계곡
보경사에서 문수봉 방향으로 약 2km 지점에 문수암이 자리잡고 있다.
문수암을 지나 삼지봉 방향의 임도를 걷다보면 우측으로 약 170미터 지점에 문수봉이 있다.
문수봉에서 삼지봉까지는 약 2.6km 정도 된다.
내연산은 전형적인 육산이며 정상은 삼지봉이다. 주능선은 완만하고 참나무 숲으로 이루어졌다.
산행으로 지친 발을 위해 계곡에 발을 담궈 본다.
잠시 계곡에서 쉬고 있는데 뱀이 나타나 나도 놀라고, 뱀도 놀랐다.
위에서 연산폭포 모습
연산폭포 위의 게곡이다.
관음폭포. 비하대 아래 형성된 폭포이며, 불교 용어인 관음(관세음보살의 약칭)에서 따온 명칭이다.
연산폭포. 내연산 12폭포 중 가장 규모가 큰 폭포다.
보경사 5층 석탑. 고려시대의 5층 석탑으로 높이는 약 5m이다.
'등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아산 도고산-덕봉산 (0) | 2018.06.29 |
|---|---|
| 블렉야크 100대 명산 91좌 감악산(강원도 원주) (0) | 2018.06.29 |
| 블렉야크 100대 명산 89좌 동악산(전라남도 곡성) (0) | 2018.06.21 |
| 블렉야크 100대 명산 88좌 가야산(경상남도 합천) (0) | 2018.06.20 |
| 블렉야크 100대 명산 87좌 희양산(경상북도 문경) (0) | 2018.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