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우리나라 화폐 모음

케이씨에스 2012. 2. 10. 08:41

우리나라 화폐 역사

인간은 오랜세월 화폐없이 물물교환에 의존해 살아왔다.
초기에 사람들이 돈으로 사용한 것은 소금을 비롯하여 조개껍질, 가죽, 옷감, 동물 뼈 등의 입거나 먹을 수 있는 물품이었다. 특히 조개껍질은 화려함과 견고성 때문에 기원전 3천년경부터 돈으로 쓰여왔고 돈과 관련된 한자말에는 조개 패(貝)자가 들어가게 되었다

 

주화란 일정한 무게의 금속 조각에 발행한 곳의 마크나 스탬프를 새긴 것인데 표준 가치를 지닌 최초의 주화는 기원전 7세기경 터기 서쪽 지방의 리디아 인들에 의해 일렉트럼(금 75%, 은 25%)이라는 천연합금으로 만들어 졌다. 강낭콩만한 크기에 사자의 모습이 찍혀 있고 금속의 무게를 증명하는 내용도 압인되어 있으며 '스테이터' 또는 '스탠더드'로 불려졌다. 그리스인들이 이 일렉트럼의 유용성에 탄복하여 동전을 만들기 시작, 소아시아와 남부 이태리지역 등 에도 주조 화폐 시대가 열려 로마로 이어지게 되었다

주화란 일정한 무게의 금속 조각에 발행한 곳의 마크나 스탬프를 새긴 것인데 표준 가치를 지닌 최초의 주화는 기원전 7세기경 터기 서쪽 지방의 리디아 인들에 의해 일렉트럼(금 75%, 은 25%)이라는 천연합금으로 만들어 졌다. 강낭콩만한 크기에 사자의 모습이 찍혀 있고 금속의 무게를 증명하는 내용도 압인되어 있으며 '스테이터' 또는 '스탠더드'로 불려졌다. 그리스인들이 이 일렉트럼의 유용성에 탄복하여 동전을 만들기 시작, 소아시아와 남부 이태리지역 등 에도 주조 화폐 시대가 열려 로마로 이어지게 되었다.

고종 19년 (1882년)


대동전 청색칠보 3전

서기 1651년

,

1735년, 1792년 설


십전통보

인조 11년

 

(서기1633년??)


조선통보 3전

 

 

 

 

 

대조선개국 495년

 

(서기1886년)


10환 경성전환국 제조

 

대한제국 광무 5년

 

(서기1901년)


독수리 반원

 

대한제국 융희 3년

 

(서기1909년)


봉황새 1전

 

 

 

 

 

 

 

 

 

고종 3년

 

(서기1866년)


상평통보 당100전

숙종 5년

 

(서기1679년)


상평통보 당2전

숙종 4년

 

(서기1678년)


상평통보 당1전

 

 

 

서기 1945년 발행


조선은행 을권 100원

 

서기 1915년 발행


조선은행 금권 5원

서기 1904년 발행


제일은행 구권 1원

서기 1910년

 

12월 21일 발행


한국은행 1원

서기 1932년

 

6월1일 발행


조선은행 10원

서기 1947년

 

6월 3일 발행


조선은행 100원

 

 

 

서기 1962년

 

5월 16일 발행


한국은행 100환

서기 1962년

 

6월 10일 발행


한국은행 100원

서기 1969년

 

3월 21일 발행


한국은행 50원

 

 

서기 1962년

 

6월 10일 발행


영국인쇄 시리즈 (10원)

서기 1962년

 

6월 10일 발행


영국인쇄 시리즈 (5원)

서기 1962년

 

6월 10일 발행


영국인쇄 시리즈 (1원)


 

 

동국중보[東國重寶]

(998~1097년)
동국중보[東國重寶]

(998~1097년)
해동통보[海東通寶]

(1097~1105년)
삼한통보[三韓通寶]

(1097~1105년)

조선통보[朝鮮通寶]

(1633년)
상평통보[常平通寶]

(1633년)
상평통보[常平通寶]

(1633년)
상평통보[常平通寶]

(1633년)
상평통보[常平通寶]

(1633년)
당오전[當五錢]

(고종 20년 이후)
당오전[當五錢]

(1883년)
당오전[當五錢]

(1883년)
당일전[當一錢]

(1678년)
당백전[當百錢]

(고종3년 1866년)
모전[母錢]

(1678년)
십전통보[十錢通寶]

(1651년)
십전통보[十錢通寶]

(1651년)
압인화(시주화) 압인화(시주화)
오문 청동화[五文靑銅貨太極徽章]

(개국497년, 서기1888년)
십문 청동화[十文靑銅貨太極徽章]

(개국497년,
서기1888년)
닷량 은화[五兩銀貨]

(개국 501년,
서기 1892년)
한국은행 다 1원 주화

(서기 1983년)
한국은행 다 5원 주화

(서기 1983년)
한국은행 가 10원 주화

(서기 1966년)
한국은행 다 10원 주화
(서기 1983년)
한국은행 가 50원 주화
(서기 1972년)
한국은행 가 100원 주화
(서기 1970년)
한국은행 나 100원 주화
(서기 1983년)
한국은행 500원 주화
(서기 1982년)
현행주화 프루프세트

 

 

일본제일은행
1원권 구권

(광무6년, 서기1902년)
일본제일은행
10원권 신권

(육희3년, 서기1909년)
일본제일은행
1원권 신권

(육희2년, 서기1908년)
조선은행 100원권
(서기1914년)
조선은행 10원권
(서기1915년)
조선은행 5원권
(서기1915년)
조선은행 1원권
(서기1915년)
조선은행 을 100원권
(서기1945년)
조선은행 갑 100원권
(서기1945년)
한국은행 개 500원권
(서기1961년)
한국은행 1000원권
(1953년)
한국은행 100원권
(서기1953년)
한국은행 신 100원권1[黃色紙]
(서기1953년)
한국은행 개 갑
100원권

(서기1962년)
한국은행 나 100원권

(1962년)
영제set[英國에서 인쇄]

(1962년 화폐 개혁)
한국은행 가 10원권

(서기1962년)
한국은행 가 50원 권

(서기1962년)
한국은행 나 50원권

(1969년)
한국은행 다 100원권

(서기1965년)
한국은행 가 500원권

(서기1962년)
한국은행 나 500원권

(서기1966년)
한국은행 다 500원권
(서기1973년)
한국은행 가 1000원권
(서기1975년)
한국은행 나 1000원권
(1983년)
한국은행 나 1000원권
2연 연결 은행권
(서기2001년)
한국은행 가 5000원권
(1972년)
한국은행 나 5000원권
(서기1977년)
한국은행 다 5000원권
(서기1983년)
한국은행 가 10000원권
(서기1973년)
한국은행 나 10000원권
(1979년)
한국은행 다 10000원권
(서기1983년)
한국은행 라 10000원권
(서기1994년)
한국은행 마 10000원권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밤늦게 먹으면 안되는 ‘나쁜 야식’ 5가지   (0) 2012.04.04
의학만화  (0) 2012.02.22
원정초등학교를 다녀와서...  (0) 2011.07.19
범칙금과 과태료의 차이   (0) 2011.03.10
명절 절하는 법  (0) 2011.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