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재채기 할 때 눈을 감는 이유

케이씨에스 2013. 3. 21. 17:53

백과사전 :

코의 점막이 자극을 받아 일어나는 경련성 반사운동. 

호흡근의 불수의적(不隨意的)·발작적 축소에 의해 공기가 입과 코로 격하게 방출되는 현상을 말한다. 코의 점막에 자극이 가해지면 심한 흡기운동이 일어나는데, 폐속에 들어간 다량의 공기는 계속적인 호기(呼氣) 운동에 의해 비강을 향하게 된다. 이때 비인강폐색(鼻咽腔閉塞)이 일어나면 호흡이 일시 차단되며, 이때문에 폐 속의 공기압력이 상승한다. 기압이 어느 정도 올라가면 발작성이 강한 호기가 나오는데, 이것이 재채기이다. 알레르기성비염, 코 점막의 자극, 염증 등이 원인이다.

 

재채기를 할 때 눈을 감는 이유는 재채기의 속도와 관련이 있다. 재채기를 할 때 아주 빠른 속도로 숨을 내뱉는 것이기 때문에 눈이 튀어나올 수 있다.

 

재채기를 할 때 속도는 초속 200~300m에 달하는 이 때 눈을 뜨고 있으면 안구가 돌출될 위험이 있다. 때문에 눈을 보호하기 위해 반사적으로 눈주위의 근육을 수축시켜 눈을 감는 것이다.

보통 숨을 쉬 때 속도는 시속 10~20km 정도라고 한다. 하지만 기침을 했을 때 입에서 나오는 공기의 속도는 시속 200~400km, 재채기를 할 경우에는 대략 시속 320km 정도로 1초만에 100m를 달려 나가는 속도와 비슷하다.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중이 졸업식  (0) 2015.02.26
달빛샤워 힐링캠프  (0) 2013.05.11
만두(饅頭)의 유래  (0) 2012.11.15
삼길포 고등어낚시  (0) 2012.09.04
밤늦게 먹으면 안되는 ‘나쁜 야식’ 5가지   (0) 2012.04.04